Home > 성서에 관하여 > 우리말 성서번역사 > 우리말 성경 번역에 관하여
우리말을 모국어로 쓰는 우리 나라 성서학자들이 성서원어를 배워서, 원전에서 직접 우리말로 성서를 번역하기 시작함으로써 우리 나라 성서번역에 새 기원이 이루어진다. 천주교 쪽에는 선종완 신부의 구약 사역이 1959년부터 낱권으로 나오기 시작하고, 개신교 쪽에서는 복음동지회 성서번역 위원회가 「새로 옮긴 신약성서 1. 마태의 복음서」(1961)를 내놓기 시작하였다.
대한성서공회에서는 1967년에 우리 나라 학자들만으로 구성된 성서번역 위원들이 원문에서 직접 번역한 새 번역을 출판하였다. 그것이 바로 「신약전서 새번역」(1967)이다. 기존의 「개역」을 개정하지 않고 새로운 번역을 시도한 것이다. 우리말을 모국어로 사용하는 우리 학자들이 번역한 최초의 신약전서이기도 하다. 새 번역 시대의 특징 가운데 하나는 원천언어(히브리어나 그리스어) 전문가와 수용언어(우리말) 전문가가 따로 분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런 점에 있어서 「신약전서 새번역」는 외국 선교사들이 여러 번역판에서 간접적으로 번역했거나 고친 「개역」 성서와는 다르다.
이 「새번역」은 「개역」이나 「구역」에 익숙한 기독교인들보다는, 성서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들, 특히 당시 우리 나라 인구의 70퍼센트 이상을 차지하던 30세 이하의 청년들을 위한 전도용으로 번역한 것이다. 번역 원칙은 "풀어쓰기나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엄격한 의미에서 번역하는 것이 우리의 목적이요 의무였으나, 누구나 읽어서 알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조건을 무시할 수 없었다"는 초판 머리말의 진술이 보여주듯이 기계적인 축자역과 자유스러운 풀이역 둘 다를 삼가는 태도를 취하였다. 현대 한국어로 되어 있을 뿐 아니라, 본문의 지문(地文)이 모두 “합니다”체로 되어 있는 것도 특징이다.

중등교육 이상을 받은 이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쉬운 우리말로 번역하였다.
예수께서 무리를 보시고 산에 올라가 앉으셨을 때에 제자들이 그에게 나아왔습니다. 예수께서 그들을 가르치기 시작하셨습니다. (마 5:1-2)
그리스도 예수의 종이며 부르심을 받은 사도로서 하나님의 복음을 위하여 성별된 나 바울이 이 편지를 씁니다. (롬 1:1)
새로운 번역의 시대에 특기할 만한 또 다른 하나는 우리 나라 가톨릭 교회와 개신교가 공동으로 성서를 번역해낸 것이다. 대한성서공회가 「공동번역 신약」을 내놓은 것은 1971년 부활절이었고, 구약 및 외경을 완역해 내놓은 것은 1977년 부활절이었다. 이 큰 계획 때문에 한국 천주교 중앙 협의회 쪽에서는 선종완 신부의 구약번역을 도중에서 중단하였고, 개신교 쪽에서는 「신약전서 새번역」만 출판하고 「구약전서 새번역」은 중단했다. 특히 영·미 계통의 기독교 세계가 1960년대로 접어들면서 종래 사용해오던 1611년의 「제임스왕역」(KJV), 혹은 1901년의 「미국표준역」(ASV), 1946년의 「영어표준개역」(RSV) 등에 대한 개역이나 수정을 보류하고,「새영어성서」(NEB),「영어복음성서」(GNB), 「새국제역」(NIV) 등과 같은 새로운 번역을 시도하였듯이, 우리 나라 성서공회 역시 이들과 때를 같이하여 그 동안 필요성을 절감해온 새로운 번역에 착수하였다. 그것을 개신교만의 단독 사업으로서가 아닌 신.구교 공동 사업으로 추진하여 결실을 맺기에 이르렀다. 이것이 바로 공동번역 성서」(1977)이다.

공동번역성서는 우리나라의 개신교와 카톨릭이 공동으로 번역했다는 점, 이미 나와 있던 「개역」의 번역이 형식일치의 번역, 곧 직역에 가까운 번역이었는데 반하여 내용동등성 번역 곧 의역의 성격을 보이는 번역이라는 점, 한국의 현대인이 쓰고 있는 현대어로, 그리고 알기 쉬운 말로 번역된 점 등이 그 특징이다. 신약성서는 1971년에 출간되었고, 구약성서는 1977년에 개정된 「공동번역 신약성서」와 합본되어 「공동번역 성서」라는 이름으로 출간되었다.

「공동번역」은 원문과의 문법형식의 일치보다는 의미의 전달에 역점을 둔 번역이다. 우리말 표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인 번역이다.

카톨릭 쪽의 선종완 신부와 함께 구약을 번역한 문익환 목사는 다음과 같은 회고를 하고 있다.
신명기 번역 독회를 할 때의 일이다. 그 전날 독회를 거친 부분을 아침에 다시 읽는 것을 선종완 신부가 듣고 그는 이런 말을 했다.

“이제 하느님도 한국말을 제대로 하시게 되었군. 하느님도 우리말을 제대로 하시는데 이르기까지 이백 년이 걸렸으니, 우리말은 어지간히 어려운 말이군요."
원문과 번역문 사이에 문법 형식이나 문장 구조의 형식은 달라도 원문이 지닌 내용과 동일한 내용을 우리말로 옮기려고 하는 시도가 있다. 이것이 바로 「공동번역 성서」의 내용동등성 번역원칙이다. 여기서는 원문을 존중하는 만큼 번역문인 우리말을 존중할 것이 강조된다.

히브리인들이 말하는 어법과 우리나라 사람들이 말하는 어법이 다르다.
삶의 행위 방식도 다르므로 표현 방식도 다르다. 예를 들어,
자식이 부모 슬하를 떠날 때 이스라엘에서는 서로 입을 맞추고 목을 껴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자식들이 부모님께 큰절로 하직 인사를 드린다. 엘리사가 부모를 떠나 엘리야를 따를 때, 엘리사는 엘리야에게 “아버지와 어머니께 입을 맞춘 다음에” 따르겠다고 한다(「개역」 왕상 19:20). 그러나 「공동번역」은 여기서 엘리사가 “부모님과 작별 인사를 한 후에” 따르겠다고 한 것으로 번역하고 있다.

뱃사공들은 범인 요나를 사형에 처하기에 앞서 여호와께 “무죄한 피를 우리에게 돌리지 마옵소서”라고 간구한다(「개역」 욘 1:14). 히브리어 표현을 문자 그대로 옮긴다면, “깨끗한 피를 우리에게 주지 마소서”이다. 요나를 죽인다고 해서 자기들이 무고한 사람을 죽이는 것은 아니니, 자기들을 죄 없는 피, 곧 깨끗한 피를 부당하게 흘린 살인자 취급을 하지 말아 달라고 하는 간구이다. 그리하여 「공동번역」은 이 본문을 “우리에게 살인죄를 지우지 마십시오”라고 번역하였다.
위의 두 가지 예에서만 보더라도 형식일치의 번역은 원문의 글자 하나 하나, 낱말 하나 하나를 번역문에 그대로 다 정확하게 반영시키려 한다. 그러나 그렇게 했을 때 우리말만 아는 독자들은 얼른 이해를 하지 못하거나(왕상 19:20의 경우), 전혀 이해를 하지 못하는(욘 1:14의 경우처럼) 번역이 되고 만다. 그래서 원문의 낱말을 ‘정확하게’ 옮겨 놓았어도 번역의 '정확성’은 의심받게 되는 것이다.
조선기독교도연맹이 1983/4년에 발행한 신구약전서 (이하「북한성서」)는 새로운 번역이 아니고 1977년에 대한성서공회가 펴낸 「공동번역」의 ‘교정’이다.








“주의 기도”(마 6:9-13)를 비교해 본다.
‘북한성서’에는 다음과 같이 되어있다.
(9)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
온 세상이 아버지를 하느님으로 받들게 하시며
(10) 아버지의 나라가 오게 하시며
아버지의 뜻이 하늘에서와 같이
땅에서도 이루어지게 하소서
(11) 오늘 우리에게 필요한 량식을 주시고
(12) 우리가 우리에게 잘못한 사람을 용서하듯이
우리의 잘못을 용서하시고
(13) 우리를 유혹에 빠지지 않게 하시고 악에서 구하소서.
(나라와 권세와 영광이 영원토록 아버지의 것입니다. 아멘.)
이것은 「공동번역」의 “주의 기도” 그대로이다. 달라진 것은 11절의 “양식”이 “량식”으로 된 것과, 12절의 “(잘못한) 이들”이 “(잘못한) 사람”으로 바뀐 것뿐이다.

요한복음 3장 16절의 경우를 또 비교해 본다. ‘북한성서’에는 다음과 같이 번역되어 있다.
하느님은 이 세상을 극진히 사랑하셔서 외아들을 보내주시며 그를 믿는 사람은 누구든지 멸망하지 않고 영원한 생명을 얻게 하여 주셨다.
「공동번역」의 번역내용과 다른 점은 ‘(외아들을) 보내주시어’가 ‘(외아들을) 보내주시며’로 바뀐 것뿐이다. 그러나 여기 ‘보내주시며’는 ‘보내주시여’의 오기일 가능성도 있다. 여기에서 ‘교정’이라함은 이미 나와있는 출판물의 글자나 글귀, 문장 등을 주의 깊게 혹은 비판적인 견지에서 고치는 것을 일컫는다. ‘교정본 ’이라함은 그런 교정작업을 거쳐 나온 본문을 가리킨다. 이런 뜻에서 조선기독교도연맹의 「신약전서」와 「구약전서」는 새로운 ‘번역’이 아니라 기존 번역인 「공동번역」의 ‘교정’이다. 그것이 평양이라고 하는 지역에서 교정된 것이므로 그것을 ‘공동번역 성서 평양교정본’이라고 부를 수도 있다.
1999년에 출판된「공동번역 성서 개정판」은 '특징, 번역 원본, 번역 원칙' 들이「공동번역 성서」 초판과 동일하다. 개정위원회에서는 "명백히 틀린 것만 고친다. 현재의 공동번역 성서와 통용할 수 있게 한다. 가톨릭용은 편집 순서를 조정한다."는 원칙을 정하고 개정을 하였다. 따라서 현행 '한글 맞춤법'을 따랐으며, 가톨릭용은 '제2경전'을 구약과 신약 사이에 따로 배치하지 않고 구약의 해당 자리에 편집을 하였고, 경전의 낱권 배열은 공동번역 성서 초판 목차의 편집 순서를 그대로 따랐다. 고쳐서 좀더 부드러워지더라도 현재의 본문이 틀리지 않았다면 그대로 두었다. 명백한 개선이 아니라 논란의 여지가 있는 것은 공동번역을 존중하여 그대로 두었다. 비표준어, 띄어쓰기, 오자, 탈자, 오역, 문법에 맞지 않은 문장, 맞지 않는 존비법, 문장부호, 잘못된 음역, 잘못 표기된 절 표시 위치 등은 바로잡았다. 누락 본문을 확인하여 복원하였다. 각주 표현에 일관성이 없어, 적절한 수준으로 용어와 문장 형식을 통일하였다. '구교'와 '신교'는 "천주교"와 "개신교"로 적었다. 공동번역의 약자는 천주교와 대한성공회의 약자 체계를 고려하여 첫 두 자로 적었다.
이 기간에 괄목할 만한 새로운 번역은 「성경전서 표준새번역」이다. 1993년 1월에 대한성서공회는 10여 년 동안 각 교단의 신학자 16명으로 구성된 번역진이 새롭게 번역한 「성경전서 표준새번역」의 첫 판을 발행하였다. 겉으로 볼 때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개역」과는 달리 현대어로 번역되었다고 하는 점이다. 쉬운 말로 번역되었다는 것도 또 하나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표준새번역」에서는 자연스러운 우리말로 원문의 뜻을 잘 전달해 보려고 한 노력도 돋보인다. 번역된 본문이지만 번역 어투를 없애고 아주 자연스러운 우리말로 히브리어와 그리스어 원문의 뜻을 올바로 전달하고자 한 것이다.

「표준새번역」의 또 다른 특징은 「개역」이 '여호와'라고 하고, 「공동번역」이 '야훼'라고 한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 네 글자(YHWH)를 '주'(主)로 번역하였다고 하는 점이다. 구약의 마소라 본문 자체가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 네 글자를 '주'(아도나이)라고 읽어 왔고, 기원전 3세기부터 번역되기 시작한 그리스어 칠십인역이 이 이름을 '주'(퀴리오스)라고 번역한 이래, 신약의 사도들이 신약을 기록할 때도 그 이름을 주(퀴리오스)라고 적었고, 제롬의 라틴어역 「불가타」가 이 이름을 주(도미누스)라고 하였다. 또한 루터의 독일어역도 이 이름을 주(헤르)라고 하였고, 대다수의 영어 성서가 이 이름을 주(로드)라고 해왔으므로, 우리말 「개역」의 신약성서도 주라고 번역했다. 따라서 히브리어 본문의 전통과 세계 교회의 오랜 전통과 우리말 「개역」 신약성서의 전통을 따라서 하나님의 거룩한 이름 네 글자(YHWH)를 주라고 번역하였다.

「표준새번역」이 「개역」과 다른 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대어로 번역되었다.
종결어미 ‘하시니라’ ‘하시더라’ ‘된지라’ ‘이러라’ 등이 없어졌다. ‘가라사대’ ‘發明하다’ ‘發行하다’ ‘不平하다’와 같은 고어가 사라졌다.

2) 쉬운말로 번역되었다.
“개동시(開東時)”(창 44:3)는 “동이 틀 무렵에”로, “半日耕地段(반일경지단)”(삼상 14:14)은 “반나절에 갈아 엎을만한 들판”으로, “지로(指路)하다”(행 1:16)는 “안내(案內)하다”로 고쳤다.

3) 우리말답게 번역되었다.
무엇보다도 번역어투와 비문(非文)을 없애려고 하였다. 「개역」에 흔히 나오는 “두려워 말라”(민 21:34)와 같은 비문은 “두려워하지 말아라”로 고쳐졌다. 「개역」 아모스 5장 20절의 “여호와의 날이 어찌 어두워서 빛이 없음이 아니며 캄캄하여 빛남이 없음이 아니냐”와 같은 무의미한 번역은 없어졌다. 같은 구절이 「표준새번역」에서는 “주의 날은 어둡고 빛이라고는 없다. 캄캄해서, 한 줄기 불빛도 없다”라고 번역되었다.

4) 성차별 표현을 없앴다. 여성 멸시 표현을 모두 없애버렸다.
「개역」에서 흔히 보는 “계집” “어미” 같은 표현이 사라졌다.

“하루는 창녀 두 사람이 왕에게 와서, 그 앞에 섰다. 그 가운데서 한 여자가 나서서 말을 하였다. ”
(왕상 3:16-17)
그 소녀가 가서 그 아이의 어머니를 불러 왔다.(출 2:8)

여성을 남성에 끼워 넣는 표현, 예를 들면, ‘아들’ 속에 ‘딸’을 끼워 넣는 것은 과감히 ‘자녀’(마 5:9) 또는 ‘아들딸’로 번역하였다. 예를 들면, “평화를 이루는 사람은 복이 있다. 그들이 하나님의 자녀라고 불릴 것이다.”(마 5:8) 와 같은 경우, “아들”을 “자녀”로 고쳤다. ‘형제’ 속에 ‘자매’를 끼워 넣는 표현, 예를 들면, “자기 형제나 자매에게 성내는 사람은, 누구나 심판을 받는다 ... ”(마 5:22)에서 형제는 “형제나 자매”라고 하였다.

「개역」에서는 남성이 여성에게 반말을 쓰지만 「표준새번역」에서는 서로 존대말을 쓰도록 하였다. 특히 룻기에서 룻과 보아스는 서로 존대말을 쓰도록 번역하였다.

성차별 표현과 함께 장애인 차별 표현을 없앴다고 하는것도「표준새번역」의 특징중 하나이다.
예를들면, '문둥병'은 '나병' 또는 '악성 피부병'으로, '소경'은 '맹인'으로 고쳤다.
「표준새번역 개정판」은「표준새번역」의 번역 원칙 즉 원문의 뜻을 우리말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확하게 번역하되, 쉬운 현대어로, 우리말 어법에 맞게, 한국 교회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번역한다는 원칙을 그대로 지키면서, 다음 네 가지 점에 착안하여 개정을 하였다.
1) 번역이 명확하지 못했던 본문과 의미 전달이 미흡한 본문은 뜻이 잘 전달되도록 고쳤다.
2) 될 수 있는 대로 번역어투를 없애고, 뜻을 우리말로 표현하려고 노력했다. 그러나 신학적으로 중요한 본문에서는 우리말 표현보다는 원문의 뜻을 그대로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3) 원문 자체의 난해구에 관해서는 현대 성서학의 연구 결과를 응용하여 그 뜻을 밝히려고 노력하였다.
4) 대화문에서는 현대 우리말 존대법을 적용하였다.
성경의 발췌 번역은 우리나라의 천주교와 성공회 쪽에서 처음 시작된다. 그 중의 하나가 그 연대를 알 수 없는 필사본 이라는 것이다. 이 필사본은 모두 20여 권에 이르며, 각 권은 70장 안팎 부피이다. 전체적으로 볼 때, 이것은 17세기의 한문본 「聖經直解」(1642)와 19세기에 나온 「聖經廣益」(1866)을 번역한 것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최초의 필사본은 역관 출신인 최창현이 번역하였다고 전해지는 1790년에서 1800년 사이에 나온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천주교에서는 각 주일과 주일 이외의 첨례 곧 축일(성탄 축일 등)에는 그 주제에 따라 성서 구절을 골라서 읽도록 되어 있다. 그리하여 1년의 52개 주일과 그 밖의 34개 축일에 읽게 되는 성서 내용은 각기 다르게 정해져 있다. 는 이렇게 각 주일과 축일에 읽는 각기 다른 성서 내용을 한 항목으로 하여 편성하고 있는 것이다. 19세기에 나온 한글 활판본 (1892-1897)는 필사본 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聖經마두」, 「聖經말구누가」, 「聖經요안」, 「聖經슈난」 이상 네 권은 모두 1892년 이전에 나온 것으로서, 1892-1897년에 나온 의 대본이 된 것으로 알려진 에서 복음서의 성구들만 뽑아서 재편집한 것이다.

한국교회사연구소에 소장된, 1890년대에 나온 것으로 추정되는, 「고경古經」 또는 「고셩경古聖經」이라고 하는 필사본이 있다. 창세기 4장 2절부터 37장 20절까지의 내용을 간추려 번역한 것이 여기에 들어 있다. 일찍 번역된 구약의 단편을 볼 수가 있어서 흥미롭다.
(1910)
‘宗徒行傳’ (1922)
‘四史聖經合附宗徒行傳’ (1922)
‘四史聖經’ (1939)
‘신약성서 서간묵시편’ (1941)
’신약성서 상편’ (1948)
‘구약성서’ 선종완 (1958-63)
‘성경의 시편’ 최민순 (1968)
‘시편과 아가’ 최민순 (1977)
‘소년셩셔’ (1925)
’젊은이의 성서’ (1940, 1951)
‘가정의 복음서’ 김창수 (1964)
‘합본복음서’ 백민관 (1972)
‘신약성서 복음편 서간편’ 김창수 (1968)
‘구약 (창세기, 출애급기)’ 김창수 (1972)
‘오늘의 시편’ 김윤주 (1980)
1974년부터 천주교의 성서학자들이 모여 의역 중심의 「공동번역 성서」와는 다른 성서 원어를 정확하게 직역하고 각 권마다 자세한 해제와 주석을 붙인 「200주년 기념 성서」를 기획하였는데 우리 나라에 천주교가 들어온 지 200년(1784-1984)을 기념하기 위한 번역사업이었다. 구약성서는 서강대학교 신학연구소에서 「호세 아미카」(1977),「스파니아 나훔 하바꾹 오바디아 요나」(1977), 「요엘 아모스 하깨 말라기」(1979) 등 11권의 소예언서를 펴냈으며, 신약성서는 분도출판사에서 1981-2002년 사이에「마르코복음서」(1981), 「루가복음서」(1983), 「데살로니카전후서」(1981), 「디모테오전후서 디도서」(1981), 「야고보서 베드로전후서 유다서」(1984) 등이 낱권으로 나오다가, 2002년 「요한묵시록」 낱권 주석판내면서 번역이 종결되었다. 2001년에는 이러한 주석 낱권들을 모아 주석 합본「200주년 신약성서 주해」를 발행하였다. 또한 이 주석 성서와 달리 간단한 주해만 붙인 1991년「한국 천주교회 창립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 보급판」과 1991년판을 매끄럽게 다듬은 「한국 천주교회 창립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 개정보급판」(1998)을 발행하였다.

한편, 주교회의 성서위원회에서 구약성서를 원문에 충실하게 옮기고 상세한 주해를 붙인 「구약성서 새번역」을 기획발행하였다. 임승필 신부의 「시편」(1992)과「잠언」(1992), 「욥기」(1992) 번역을 시작하여 「룻기 아가 코헬렛<전도서> 애가 에스델 -축제 오경-」(1993), 「이사야」(1995), 「집회서」(1995), 「창세기」(1995), 「예레미야 바룩」(1996), 「탈출기(출애굽기) 레위기」(1996), 「사무엘상 하」(1997), 「에제키엘」(1997), 「열왕기상 하」(1997), 「민수기 신명기」 (1998), 「역대기상 하 에즈라 느헤미야」(1998), 「여호수아 판관기」(1998), 「열두 소예언서」(1999), 「다니엘, 토비트, 유딧, 지혜서」(1999), 「마카베오 상하(1999)」이 출판되었다. 구약성서 새번역 개정판은 「욥기」(1997), 「시편」(1998), 「잠언」(1999) 등이 출간되었다. 신약성서의 경우에는 2001년에 「신약성서 새번역 마태오복음서」부터 번역되기 시작하여 2002년말「요한묵시록」이 출판되면서 완간되었다.
‘200주년 성경 호세아’ 외 (1977, 1979)
’한국 천주교회 200주년 신약성서 마르코복음서’ 외 (1981)
‘한국 천주교회 창립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 보급판’ (1991)
‘한국 천주교회 창립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 개정보급판’ (1998)
‘200주년 기념 신약성서 주해’ (2001)
‘구약성서 새번역’ (1992-1999)
‘구약성서 새번역 개정판’ (1997- )
‘신약성서 새번역’ (2001-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