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정보 창고 > 성서의 활용 > 멀티미디어와 성서
멀티미디어 시대의 설교
이주연 <기독교사상 편집부장(현)>
  4. 결어- 멀티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설교, 글쓰기)

현대의 예언자는 광야에서 외치지 아니하고, 주로 모니터 안에서 외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전통적인 교회의 설교라 할지라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청중의 의식과 청중의 커뮤니케이션 양태를 따라 메시지를 전달해야 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렇다면 멀티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설교는 어떻게 하여야 할 것인가? 이를 위해서는 멀티미디어의 활용책을 모색해야 할 것이고, 또 하나는 멀티미디어 시대의 청중들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을 이해하여 이들에게 효과적으로 메시지를 작정 전달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여기서는 후자에 관해서만 논의하고자 한다. 이는 강연의 시간적인 제약 때문만이 아니다. 멀티미디어를 사용하지 아니하는 사람들이라고 할지라도, 이미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상매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에 젖어 있기에, 이러한 사람들에게 어떻게 글을 쓰며 설교를 하는가 하는 문제는 대단히 시급한 문제가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글쓰기와 설교는 멀티미디어를 활용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도 미리 준비되어야 할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 장르와 언어와 문체와 신학적 성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1) 장르

종이 위에 쓰여진 활자 매체 시대는 글자와 이성이 시대를 지배하였다. 이러한 산업시대적인 풍토에서는 지식이 메시지의 중심을 이루었다. 그래서 낱말 뜻풀이와 주석이 설교에서도 중심적인 내용을 차지하였다. 이러한 이유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장르는 산문을 주로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영상시대인 멀티미디어 시대에는 활자보다는 영상 이미지와 음향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사람들은 시각과 직관과 감성을 주로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따라 커뮤니케이션을 하게 된다. 이러한 커뮤니케이션 방식은 장르가 산문에서 시로, 논술체에서 이야기체로 바뀔 수밖에 없게 된다. 그러므로 효과적인 글쓰기나 설교도 이러한 장르를 택하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다.

텔레비전 광고는 이러한 사실에 대하여 생각해 보기에 대단히 좋은 사례가 되리라 본다. 물론 텔레비전이 광고의 내용은 문제가 될만한 것이 있고 그 형식상 극단적인 예가 될 수 있지만, 효과적 커뮤니케이션을 위해서는 매우 중요한 실마리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우선 어린아이들이 광고를 가장 먼저 배우고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광고가 추구하는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얼마나 강력한 것인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그러하기에 뜻을 올바로 전달할 뿐 아니라, 기억에 남기고 영향력을 행사하는 글쓰기나 설교를 하고자 한다면 광고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살펴볼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광고는 어떻게 몇 초 동안에 커다란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을까? 우선 광고의 장르는 산문이 아니라, 시적인 것임을 주목하라. 그리고 설명조보다는 선언적이며, 사실적이기보다는 상징적이다. 대단히 함축적이면서도 촌철살인의 핵심을 찌르는 낱말에서 낱말로 이어진다. 그리고 광고는 반복적이면서도 실증을 나지 않게 하고 있다.

사실 광고만이 아니라 많은 경우 영상매체에서 사용하는 표현기법은 이러한 방식을 택하고 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전국을 강타했던 드라마, "모래시계"에서 사용되었던 대사와 음향효과를 생각해 보라. 대사는 짧고 명확하다. 대단히 상징적인 이미지를 사용하고 있다. 음향은 전체 분위기의 중심을 가로지르면서 드라마의 분위기를 압도한다. 그리고 반복적이다.

따라서 영상시대에 효과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영상매체들과 경쟁을 하여야 하는 글쓰기와 설교는 산문적인 것보다는 시적인 방식을 택하고, 상징적이며 선언적인 방식을 택할 수밖에 없다.


2) 언어

언어는 지식의 언어에서 가슴의 언어(Heart Language)로, 분석적 언어에서 통전적이며 상징적인 언어(Symbolic Language)로 바꾸어야 한다. 멀티미디어식 커뮤니케이션은 알기보다는 느끼고, 분석하기보다는 통째로 감동을 받는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러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하여서는 생래화된 무의식에 깔린 언어를 써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관념적이고 형식을 갖춘 말이나 강의실에서 사용하는 언어가 아니라 시장바닥에서 일반인들이 쓰는 말이 좋다. 성경이 코이네 희랍어로 쓰여진 점도 대단히 중요한 것을 시사하지 않는가? 또한 할머니나 어미니 품에서 들었던 옛날 이야기 속에서 민족 고유의 언어를 찾아내라. 그리고 속담이나 경구에서 언어를 찾아내는 것도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3) 문체

간결하고 명쾌하게 써야 한다. 방송의 언어는 3초에 결정이 난다는 말이 있다. 시청자들이 3초만에 다른 채널을 선택해 버리기에 그 이전에 마음을 사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진행되는 영상매체에 노출된 이들에게, 장황하고 초점을 잃은 언어로 길게 늘어뜨리면 청중들에게 외면 당하고 말 것이다.

그런데 위에서 설명한 장르나 언어나 문체는 이미 고전적으로 성경에서 예수께서 사용하신 상징적인 표현방법에서 찾게 된다.

예를 들면, "회개하라. 천국이 가까이 왔느니라." "의인을 부르러온 것이 아니라 죄인을 부르러 왔다. " "비판을 받지 아니하려거든 비판하지 말라." " 네 이웃을 네 몸처럼 사랑하라."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안식일보다 더 큰이가 여기에 있다." "죄 없는 자가 먼저 돌로 치라." 등등 모든 말씀에는 긴 설명이 없다. 중심을 꿰뚫어 가며, 짧고, 명쾌하다. 그리고 선언적이다. 그러기에 세례요한도 마찬가지이다. "…하나님이 능히 이 돌들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이 되게 하시리라. 이미 도끼가 나무 뿌리에 놓였으니 좋은 열매를 맺지 아니하는 나무마다 찍어 던지우리라." "돌들로도 아브라함의 자손을 만드실 수 있다." 이것은 현대의 광고 카피라이터들이 만들어 내는 어휘보다 더 간명하다. 그리고 더 강력하고 영적인 힘을 뿜고 있다.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이는 예수나 요한이 지닌 통찰력과 영적인 힘에서 나온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매체를 기준으로 하여 살펴보면, 예수께서 하신 말씀이나 성경의 기록이 활자매체를 통한 커뮤니케이션 시대의 산물이 아니라는 사실과 관련이 있는 것이다. 복음서는 예수께서 직접 활동하며 대화하는 장면을 기록한 것이기에, 결국 영상매체 시대의 한 장면에 속하는 것과 같다. 그러기에 모든 흐름이 살아있고 힘이 있는 것이다. 이같은 사실을 생각하면, 영상매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이 활자매체를 중심으로한 산업시대보다 더 복음서의 전달방식과 가깝다고 할 것이다.


4) 신학적 성향

교파 중심적이기보다는 개인이 존중되는 개교회 중심성을 가지고 영성을 중시하여야 한다. 왜냐하면 이미 앞에서 살핀 것처럼, 멀티미디어 시대는 개성과 다양성이 중시되며, 직접적 체험을 원하기 때문에 영적 체험에 관련된 설교가 대단히 큰 영향력을 지니게 될 것이다.

아울러 지구적 지평에서 에큐메니칼한 글쓰기와 설교를 해야 한다. 멀티미디어 시대는 전세계가 지구촌화하여, 지구적 지평에서 생활하며 생각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하여서는 교리 중심보다는 신앙 체험 중심의 커뮤니케이션을 해야 한다. 예언적인 기능보다는 영적 기능을 중시하여야 하며, 교리적 획일성보다는 다양한 신앙 형태를 존중하여야 한다. 따라서 다양성과 특수성을 존중하는 공동체를 유지하며, 영성을 중시하는 신학적 성향을 가져야 한다.

 
   1. 20세기 말의 대중적 경험

   2. 21세기적 정보 사회를 열어 가는 멀티미디어

   3. 멀티미디어가 의식에 끼치는 영향

   4. 결어- 멀티미디어 시대의 커뮤니케이션
(설교, 글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