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대한성서공회 > 홍보 > 성서한국
2003 겨울 통권 제 49권 4호
Q&A 성서 번역실의 답장 대한성서공회

아들이 아버지보다 나이가 많을 수 있나요?


<개역개정판>의 역대기하 22장 2절에 유다의 아하시아 왕이 42세 때 왕이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역대기하 21장 20절부터 읽어보면 아들인 아하시아 왕이 아버지 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을까요?


<개역한글판> 대하 22:2 |
아하시야가 왕이 될 때에 나이 사십이세라 예루살렘에서 일년을 치리하니라 그 모친의 이름은 아달랴라 오므리의 손녀더라

<개역개정판> 대하 22:2 |
아하시야가 왕이 될 때에 나이가 사십이세라 예루살렘에서 일 년 동안 다스리니라 그의 어머니의 이름은 아달랴요 오므리의 손녀더라

역대기하 21장 20절과 22장 1절을 읽어보면 아하시야 왕의 아버지인 ‘여호람’이 ‘사십 세’에 죽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개역개정판> 역대기하 21:20-22:1 |
21:20 여호람이 삼십이 세에 즉위하고 예루살렘에서 팔 년 동안 다스리다가 아끼는 자 없이 세상을 떠났으며 무리가 그를 다윗 성에 장사하였으나 열왕의 묘실에는 두지 아니하였더라  22:1 예루살렘 주민이 여호람의 막내 아들 아하시야에게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으니 이는 전에 아라비아 사람들과 함께 와서 진을 치던 부대가 그의 모든 형들을 죽였음이라 그러므로 유다 왕 여호람의 아들 아하시야가 왕이 되었더라

여호람 왕이 “사십 세”에 죽었는데, 그때 “사십 이 세”인 아들 아하시야가 왕이 되었다는 것은 상식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그런데도 <구역>부터 “사십이 세”로 번역되어 온 것은 <표준새번역개정판> 난외주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 히브리어 맛소라 본문에는 “마흔두 살”(arbaim ushtaim)이라고 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 말 성경 역본들은 구약을 번역할 때 히브리어 맛소라 본문을 편집한 편집본들을 사용합니다(대한성서공회 홈페이지 http://www.bskorea.or.kr에 오셔서 “우리말 성서번역사 우리말 주요 성경 역본”으로 들어오시면 자세한 사항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대부분의 우리 말 역본들과 영어 역본들은 히브리어 맛소라 본문에 나온 그대로 “사십이 세”라고 번역하였습니다. 

영어 역본들 중에서도 <미국표준성서>(ASV), <제임스왕역>(KJV), <새예루살렘성서>(NJB), <새영어흠정역>(NKJ), <개역표준성서>(RSV) 등에서는 “마흔두 살”(forty two years old)이라고 번역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표준새번역개정판>과 <새 국제성서> (NIV), <새 생활역>(NLT), <영의 직역>(YLT)에서는 “스물두 살”(twenty two years old)이라고 번역하였습니다. 이것은 구약의 몇몇 사본들(그리스어역, 시리아역, 아랍어역)에 “스물두 살”이라고 되어 있는 것을 따른 것이며, 평행본문인 열왕기하 8장 26절에서 “아하시야가 왕이 될 때의 나이는 스물두 살이었고”라고 되어 있는 것을 참고한 것입니다.

 야고보? 제임스? 야곱?

안녕하십니까? 궁금한 것이 있어서 여쭙습니다. 제가 영어 성경을 읽다가 야고보서를 보게 되었는데 우리말 성경은 ‘야고보’라고 하는데 영어성경은 ‘제임스’라고 합니다.
그런데 헬라어 성경도 다 ‘야고보’라고 하는데 영어성경만은 왜 ‘제임스’라고 하는지 궁금합니다.

1) ‘야고보’를 왜 ‘제임스’(James)라고 쓰느냐 하는 것은 전적으로 인도유럽 언어에서 생긴 음역상의 변화입니다. 중세 영어에서부터 제임스라고 쓰기 시작하였고, 이것은 고대 프랑스어 음역에서 음역된 것이고, 그 고대 프랑스어 음역은 후기 라틴어 음역 ‘Iacomus’에서 유래한 것입니다. 라틴어 음역 ‘Iacomus’는 ‘Iacobus’의 변형입니다. ‘Iacobus’에서 ‘Jacob’이 나오고, ‘Iacomus’에서 ‘James’가 나온 것으로 봅니다. 영어어원사전에서 ‘James’와 ‘Jacob’을 찾아보시면 궁금증이 조금은 풀릴 것입니다. 

2) 이것과 관련하여 ‘야곱’이라는 이름과 ‘야고보’라는 이름이 같은 이름인지 다른 이름인지도 물을 수 있습니다.
  (1) ‘야곱’과 ‘야고보’는 같은 이름의 다른 음역(音譯)입니다. 구약 창세기에 나오는 ‘야곱’은 이삭의 아들이고 아브라함의 손자이고, 이스라엘 12지파의 조상입니다(창 25:26). 히브리어 발음은 ‘야아콥’(ya'aqob)입니다. 그리스어로는 ‘야코브’(Iakob)라고 음역합니다(마 1:2). 이것을 영어 번역들은 ‘제이컵’(Jacob)이라고 음역합니다.
  (2) 신약에 나오는 세베데의 아들 야고보, 예수님의 형제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 등은 그리스어로 ‘야코보스’(Iakobos)라고 씁니다마는 이것 역시 ‘야코브’(Iakob)의 그리스어 문법 형태입니다.
  (3) 그런데, 우리말 번역이 구약의 ‘야아콥’은 ‘야곱’이라 하고 신약의 ‘야코보스’는 ‘야고보’라고 하듯이, 영어 번역들은 구약의 ‘야아콥’은 ‘제이컵’(Jacob)이라고 하고, 신약의 ‘야고보’는 ‘제임스’(James)라고 합니다.

Q&A 게시판 번역실
성서교육문화센터 프로그램 다시보기 임정아
성경난해구절 - 막 11:12-25 민영진
개역개정판은 보다 나은 번역이므로 유재경
미얀마에 성경을 보냅시다. 서원석
Q&A 성서 번역실의 답장 대한성서공회
후원회원 제도를 신설합니다. 대한성서공회
KBS 소식 대한성서공회
총무보고 민영진